본문 바로가기
똘똘정보

영국 AI 보안연구소 1200억원 투자와 한국의 AI 대응

by AI 똘똘 정보 2025. 4. 19.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AI 기술의 부작용과 안전성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생성형 AI, 초거대 AI 모델의 등장으로 AI의 오작동, 악용 가능성, 국가 안보 위협 등 새로운 위험 요소가 급증하고 있어 각국 정부와 연구기관들이 AI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2025년 4월 18일, 영국 정부는 AI 보안연구소에 1200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정책을 발표하며 AI 안보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적 대응 체계를 본격화했다. 이에 따라 한국 내 AI 안전연구소의 현황과 대응 과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영국의 AI 보안연구소 운영 현황과 한국의 실태를 분석하고, 네이버 기사 내용을 반영해 양국의 정책 차이와 시사점을 정리해본다.

영국 AI 보안연구소

 

영국 AI 보안연구소, 국가 AI 안보 대응 거점으로 육성

영국 정부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AI 안전연구소를 설립했고, 올해 회계연도 기준으로 1200억원(6600만 파운드)을 배정했다. 해당 연구소는 고위험 AI 기술이 국가 안보와 범죄에 미칠 수 있는 위협을 분석하고, 이를 정부 정책에 즉각 반영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AI 시스템의 오작동, 사이버 공격, 생화학 무기, 아동 성착취물 생성 등 실질적 위협을 다루며 국방과학기술연구소, 국방부, 내무부와 긴밀히 협력 중이다. 현재 130명의 전담 인력 중 60명이 연구 인력이며 대부분이 공무원으로 구성돼 있어 연구 결과를 바로 안보 정책에 적용하는 구조를 갖췄다.

명칭 변경으로 AI 안보 중심 역할 확대

영국 AI 안전연구소는 올해 2월 프랑스 정상회의 이후 명칭을 'AI 보안연구소'로 변경했다. 단순히 AI 기술의 안정성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AI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하는 기관으로 개편한 것이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야기할 수 있는 테러, 사이버 범죄, 사회 혼란 위험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실시간 정책에 반영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이를 위한 대규모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 점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AI 안전연구소, 초창기 단계와 예산 격차

반면 한국 AI 안전연구소는 지난해 11월 전자통신연구원(ETRI) 내 설립돼 현재 21명의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다. 올해 예산은 72억원에 불과하며 '공존 가능한 신뢰 AI 기술개발' 명목으로 추가 확보한 115억원을 포함해도 188억원 수준으로 영국의 6분의 1에 불과하다. 인력 역시 영국의 130명에 비해 턱없이 적다. 한국 정부는 연내 30명까지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며, 최근 미국, 영국, 일본과 AI 안전성 평가 프레임워크 공동 개발에 참여하는 등 협력 체계를 구축 중이다. 24개 기관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AI 안전 컨소시엄'도 출범해 표준화와 리스크 매핑을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 기사 주요 분석

이번 네이버 지디넷코리아 기사에서는 영국과 한국 AI 보안연구소의 예산 및 인력, 정책 대응 수준을 상세하게 비교했다. 영국이 단순 기술 안정성 검증을 넘어 국가 안보와 범죄 대응 중심으로 AI 보안연구소를 운영하며 전폭적 예산을 지원하는 반면, 한국은 연구소 설립과 국제 협력에 참여하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 규모, 정책 실행력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특히 AI의 국가 전략 자산화와 동시에 안보 위협으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한국도 AI 안전성 확보 체계를 시급히 정비하고 예산과 인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론

이번 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영국은 AI 기술의 안전성과 국가 안보 강화를 위해 대규모 예산과 독립적인 보안연구소를 운영하며 AI의 위험성과 악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연구소 설립 초기 단계로 예산과 인력 모두 부족해 AI 위험 관리 대응력이 제한적이다. AI 기술이 빠르게 고도화되며 고위험 시나리오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 한국 역시 AI 보안연구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산 확대, 법제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국민의 삶에 안전하게 기여하고, 국제사회에서 기술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