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똘똘정보

2025 대선 병역개편 공약 분석

by AI 똘똘 정보 2025. 4. 26.
반응형

2025년 대선을 앞두고 병역제도 개편이 정치권의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특히 지난 대선에서 ‘이대남’으로 불리는 20대 남성들의 표심이 대선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각 당 대선주자들은 병역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개편안을 제시하고 있다. 인구 감소, 첨단 국방 기술의 발전, 사회적 형평성 문제 등 여러 요소가 얽히면서 병역제도 개편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2025 대선, 군 병역제도

✅ 현 병역 시스템과 변화 배경

현재 대한민국은 남성 징병제를 중심으로 한 군 병력 유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상비군 수는 2002년 69만 명에서 2023년 47만여 명으로 감소했으며, 2040년에는 35만~36만 명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 같은 병력 감소는 인구 절벽과 맞물려 있으며, 병역제도 자체에 대한 구조적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인구절벽 현실

✅ 여성 군 복무 확대 논의

여성의 군 복무 확대 또한 뜨거운 감자다. 현재 여군의 비율은 전체 상비군의 약 4%로, 이스라엘(35%), 미국(17%), 일본(8%)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에 따라 여성 징병제 도입보다는 여군 확대를 위한 모병제 확대가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거론되고 있다.

✅ 이재명 후보의 ‘선택적 모병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선택적 모병제’를 핵심 병역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선택적 모병제는 징병제를 유지하되, 일정 조건을 갖춘 병역 대상자가 단기 복무(10개월) 혹은 장기 복무(36개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형 제도다. 이 후보는 단순 반복적 훈련보다는 전문화된 군 복무를 통해 장병들이 미래 경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택적 모병제

✅ 한동훈 후보의 징병제 고수론

국민의힘 한동훈 후보는 이에 반대하며, 현행 징병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남북 대치 상황에서 병력 감소를 유발할 수 있는 모병제 확대는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만, 스웨덴 등 외국 사례를 언급하며, 모병제 도입의 실패 사례를 강조했다. 실제로 대만은 의무 복무를 4개월로 줄였다가 병력 부족 문제로 다시 1년으로 환원했으며, 스웨덴도 모병제에서 징병제로 회귀한 바 있다.

징병제 수호

✅ 기타 후보들의 입장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또한 선택적 모병제에 부정적이다. 그는 안보 현실과 병역 자원의 한계를 이유로 징병제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주요 후보들의 입장은 병역제도의 방향성을 놓고 뚜렷하게 갈린다.

✅ 병역 제도가 미치는 핵심 영향

✅ 결론

2025 대선을 앞두고 병역제도는 다시금 정치의 중심에 섰다. 징병제의 존치냐, 모병제의 확대냐는 단순한 선택을 넘어, 인구 구조 변화와 국방 현실, 청년 세대의 불만과 공정성 요구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가 얽힌 문제다. 이재명 후보의 선택적 모병제는 유연한 대안으로 보일 수 있으나, 한동훈 후보의 주장처럼 현실적인 안보 위협 속에서 신중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결국 어떤 병역제도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면서도 청년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지에 대한 깊이 있는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반응형